+/Java 7

예외 처리

✅ 발생 시점에 따른 에러 종류1. 컴파일 에러컴파일 시점에 발생하는 에러로 소스 코드의 오타나 자료형, 잘못된 구문 등을 검사하여 문제가 있을 경우 에러를 발생 시킴ex) int a = 5.5; import java.util.*.ArrayList; 2. 런타임 에러컴파일 후 실행 시에 발생하는 예측 불가능한 에러Error와 Exception으로 나뉨 3. 논리적 에러: 실행은 되지만 의도와 다르게 동작하는 에러      ✅ 예외 클래스의 계층 구도1. 에러(error):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서 수습될 수 없는 오류메모리 부족(OutOfMemoryError) 또는 스택오버플로우(StackOverflowError) 2. 예외(Exception):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서 수습될 수 있는 오류    1) Ch..

+/Java 2024.04.17

연산자

논리 연산자 / 논리부정 연산자 / 증감연산자 / 산술 연산자 / 비교 연산자 / 삼항 연산자 / 복합 대입 연산자 1. 논리 연산자 => 결과 값이 논리값으로 반환됨(true / false) 논리값 && 논리값 논리값 || 논리값 and 양 쪽 다 true 일 경우에만 결과 값이 true 왼쪽이 false 일 경우 오른쪽 연산은 수행하지 않음 or 둘 중 하나라도 true 일 경우 결과 값 true 왼쪽이 true일 경우 오른쪽 연산은 수행하지 않음 2. 논리부정 연산자 논리 값을 반대로 바꾸는 연산자로 앞에 !를 붙여 표현 !논리값 => ( true → false, false → true ) 3. 증감 연산자 ++ :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키는 연산자 -- :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키는 연산자..

+/Java 2023.12.08

keyboardInput 기능 - Scanner 클래스

앞서 출력문을 이용해 원하는 문자를 직접 출력을 해 보았다면, 오늘은 화면에서 입력값을 데이터로 받아 처리하는 기능을 알아볼 것이다. java에는 Scanner 클래스라고 해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이 있는데, 이 클래스 내에 필요한 메서드를 불러와 사용하면 된다. 제일 먼저 할 일은 Scanner 클래스를 생성하고 import 하기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 위와 같이 클래스 선언 후 필요한 메서드를 불러오면 되는데, 입력 받을 값의 형태에 따라 불러오는 메서드가 달라진다. 문자열: sc.next() - 공백이 있을 경우 공백 이전까지 sc..

+/Java 2023.12.08

출력문 - print, println, printf 구분하기

1. print와 println 구분하기 print println 줄바꿈 없이 출력 출력 후 줄바꿈 위와 같이 로그를 찍게 되면 이와 같이 콘솔창에 찍힌다! 큰 차이가 없어보이지만 for문 돌릴 때 아주 유용하게 쓰인다! 예를 들면, 문자나 숫자를 열의 형태로 한 줄에 나란히 출력해야 할 땐 print를 이용해 출력하고 줄바꿈이 필요할 땐 println을 사용하면 된다. print는 줄바꿈 없이 출력되지만 \n을 이용하면 줄바꿈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를 이스케이프 시퀀스라고 한다. \t는 탭 기능이 있어 두 문자 사이에 탭 키를 적용한 효과와 같다. 2. printf printf를 사용하면 출력하고자 하는 값들이 제시한 형식에 맞춰서 출력만 진행된다. 위의 print, println과 차이점이 있다면 포맷..

+/Java 2023.12.07

변수(Variable) - 2 (형 변환)

형 변환이란? 값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boolean을 제외한 기본형은 서로 형 변환이 가능하다. 자동 형 변환(묵시적 형 변환) 강제 형 변환(명시적 형 변환) 작은 자료형 → 큰 자료형 큰 자료형 → 작은 자료형 1. 자동 형 변환(묵시적 형 변환) 데이터 범위가 작은 자료형을 큰 자료형으로 변환 자동으로 형 변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따로 형변환을 하지 않아도 됨 정수형 byte b = 10; // 1byte short s = b; // 2byte int i = s; // 4byte long l = i; // 8byte 실수형 byte, short 타입의 데이터는 연산 시 무조건으로 int 타입으로 변환 후 처리 float, double은 표현 가능한 수의 범위가 더 크기 때문에 자..

+/Java 2023.11.21

변수(Variable) - 1

변수란? ☞ 하나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1 2 4 8 논리형 boolean 문자형 char 정수형 byte shrot int long 실수형 float double 1. 변수의 선언 [표현법] 자료형 변수명; 자료형은 어떤 값을 저장할지, 어떤 크기의 메모리를 할당 받을 지에 대한 정보 변수명은 변수의 이름으로 값을 읽고, 쓰고, 지우는 작업을 할 때 사용 2. 변수의 초기화 [표현법] 변수명 = 값(리터럴); 변수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 '='는 오른쪽 데이터를 왼쪽의 변수에 대입(저장)하는 연산자 3. 기본 자료형(Primitive Type) 논리형: boolean(1byte) boolean isTrue; isTrue = true; boolean isFalse = false; isFalse = 1; /..

+/Java 2023.11.10

자바 기본 개념 짚고 가기

패키지란? 폴더를 만들어서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듯이 패키지를 만들어 클래스를 저장하고 관리 클래스를 유일하게 만들어주는 식별자 역할 모든 클래스는 하나의 패키지에 속하며, 패키지가 선언되지 않는 클래스는 자동적으로 이름 없는 패키지(default)에 속함 클래스란? 자바에서 모든 코드는 반드시 클래스 안에 존재해야 하며 서로 관련된 코드들을 그룹으로 나누어 별도의 클래스를 구성 클래스들이 모여 하나의 Java 프로그램을 구성 클래스 명은 클래스 파일명과 동일해야 함 메소드란? 클래스의 기능(동작)에 해당하는 구현 부분 해당 메소드 호출 시 메소드의 블럭( { } )에 해당하는 부분을 실행 실행 메소드(main 메소드) : 자바 프로그램 실행 시 java.exe에 의해 가장 먼저 호출 모든 클래스가 ma..

+/Java 2023.11.01